Green Geek은 기후위기를 중심으로 한 사회적 정의에 있어서 ICT의 역할에 관심 있는 여러분을 위한 뉴스레터입니다. 이 뉴스레터는 ICT가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을 함께 모색하고자 합니다.
이번 창간호에서는 미국 대선의 AI 정책, AI로 인한 전력 소모 이슈, 딥페이크 성범죄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미국 대선 AI 정책 살펴보기
미국은 대선이 진행 중입니다. 어느 정당의 후보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 정책이 달라질 것입니다. 그리고 미국이 어떠한 노선을 가지느냐는 전 세계 여러 국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는 AI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번 첫 뉴스레터에서는 민주당과 공화당 두 대선 후보의 AI 정책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를 알아보기에 앞서 미국 정부가 AI 분야에 있어 어떠한 정책을 펴왔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2022년 Open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인 ChatGPT가 마치 ‘사람과 같은’ 수준의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걸 보여준 이후, 사회 각 분야에서 생성형 AI를 비롯한 AI 기술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전방위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동시에 AI 모델의 발전과 도입으로 야기되는 문제들 역시 제기되고 있는데, AI 모델의 학습 및 활용에 따른 과도한 전력 소모와 그로 인한 탄소 배출 문제도 질문 중 하나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기술과 페미니즘을 엮는 테크-페미 활동가 갱입니다. 이번 ICT 뉴스레터를 통해 최근 뜨겁게 불거지고 있는 딥페이크 성범죄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고, 또 당장 할 수 있는 행동 하나를 소개하려 합니다.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기는 하지만, 딥페이크 성범죄에 대한 우려는 수년 전부터 제기되어 왔습니다.